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7

Frozen shoulder(동결견) 정상적인 어깨 관절은 견갑-흉곽 운동(Scapulo-thoracic motion)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어깨 통증으로 평소 사용하는 앞쪽 근육이 아닌 잘 사용하지 않는 어깨 뒷쪽 근육부터 굳기 시작을 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어깨의 내회전(열중 쉬어 자세)이 안됩니다. '동결견'은 어떤 이유(당뇨, 경추부 추간판 탈출증, 골절 등)로 인해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가 감소한 경우'로 정의 합니다 '동결견'의 병태 생리는 '어깨 관절의 비화농성 염증(non-pyogenic inflammation) 및 관절막의 섬유화(fibrosis)' 입니다 최근에는 '경추부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이차성 동결견'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십견'이라는 병명은 정확한 병명은 아닙니다 '동결견'.. 2021. 1. 10.
건초염의 정의 반복적으로 관절을 많이 사용했을때 힘줄에 생긴 '비화농성' 염증(non-pyogenic inflammation)을 말합니다 X-ray 상은 정상이며, 힘줄을 따라 약간의 부종도 생길 수 있습니다 젊은 여성, 분만 전후의 여성, 중년 여성에서 호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액막(synovium) 건초염 중에서도 대표적인 '드꿰르벵 병' 간혹 환자분들께서도 '염증'이라 해서 세균 감염으로 인해 '고름이 나오는 화농성 염증' (pyogenic inflammation)으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이 화농성 염증 사진 입니다 2021. 1. 10.
고관절의 무혈성 괴사(Avascular necrosis of hip joint) 고관절의 무혈성 괴사(AVN) 여러가지 이유로 '대퇴골 두'에 혈액이 충분이 공급이 되지 않아서 생기는 병입니다 이학적 검사는 figure 4 test로 합니다 '대퇴골 두 무혈성 괴사'(AVN)에도 여러 단계가 있습니다 소아에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진행이 되면 X-ray 로도 잘 관찰이 됩니다 초기 AVN 일 경우 MRI로 확진을 합니다 치료는 '대퇴골 두'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해 주기위해 다발성 천공술(multiple drilling)을 하거나 '대퇴골 두'가 많이 망가진 경우는 인공관절 전치환술(THR)을 해야 합니다 2021. 1. 10.
Toe buddy taping Toe buddy taping 발가락을 다쳤을때 Buddy taping 골절의 정도에 따라 부목을 하기도 하지만, 대개 부목없이 buddy taping 으로 치료합니다. 2021. 1. 10.
In toeing gait (내족지 보행) In toeing gait (내족지 보행) 환자분들에게는 '안짱 걸음'이라는 용어로 잘 알려진 '내족지 보행'입니다 그 반대가 '외족지 보행'(out toeing gait)이며 '팔자 걸음'이라고 하는 것 입니다 '내족지 보행'의 원인은 크게 대퇴골, 경골, 발이 비정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대개 생리적 발달 과정의 일부분으로 10세 이전에 자연 소실(resolution)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의 정상적인 발달 내족지 보행의 3대 원인 중족골 내전증, 경골 내염전, 대퇴골 전경의 자연 소실 시기 대퇴골 전경(femoral anteversion) '대퇴골 전경'이 있는 환아는 'W posture'를 특징적으로 잘 하게 됩니다 '경골의 염전'을 측정 중족골 내전증 교정 수술 내족지 보행을 하는 환아는.. 2021. 1. 1.
Baker's cyst (베이커 낭종) Baker's cyst (베이커 낭종) 무릎 뒤쪽(오금)에 튀어 나온 혹이 만져진다면 초음파나 MRI 검사 없이도 '베이커 낭종'으로 의심할 수 있을 정도로 흔한 병 입니다. 양성 종양이기 때문에 너무 크게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물론 다른 종양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술 전 MRI 검사는 필수적입니다 MRI finding (Meniscus tear & Baker's cyst) 후방으로 접근하여 혹을 제거함과 동시에 조직 검사를 시행하며 반월상 연골판 이상과 동반된 경우가 많아 관절경(arthroscopy)을 이용한 수술을 함께 시행하게 됩니다. 관절경 수술 2021. 1. 1.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면 안 아파져서....... '추간판 탈출증'의 여러 단계 '척추관 협착증'으로 진행(황색 인대의 비후) 2020. 11. 22.
PRP 주사 (Platelet rich plasma injection) PRP 주사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치료술) PRP 주사가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로 등재되어 난치성 '테니스 및 골퍼 엘보우'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0. 5. 24.
Elbow band for tennis elbow Elbow band를 착용하면 팔꿈치 외측부의 늘어난 힘줄을 더이상 딸려오지 않게 잡아줘서 손 및 손목의 동작시 이전보다 힘을 편하게 줄 수 있게 됩니다 2020.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