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houlder

Frozen shoulder(동결견)

by 서규남 2021. 1. 10.

정상적인 어깨 관절은 견갑-흉곽 운동(Scapulo-thoracic motion)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어깨 통증으로 평소 사용하는 앞쪽 근육이 아닌

잘 사용하지 않는 어깨 뒷쪽 근육부터 굳기 시작을 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어깨의 내회전(열중 쉬어 자세)이 안됩니다.

 

 

'동결견'은 어떤 이유(당뇨, 경추부 추간판 탈출증, 골절 등)로 인해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가 감소한 경우'로 정의 합니다

 

'동결견'의 병태 생리는 '어깨 관절의 비화농성 염증(non-pyogenic

inflammation) 및 관절막의 섬유화(fibrosis)' 입니다

 

최근에는 '경추부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이차성 동결견'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십견'이라는 병명은 정확한 병명은 아닙니다

'동결견'이나 '유착성 관절낭염'이 정확한 병명입니다

 

 

 

관절막의 섬유화(Joint capsule fibrosis)

 

동결견(유착성 관절낭염)은 환자분들이 어깨에 '염증'이 생겼다고 하시며

세균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염증(pyogenic inflammation)으로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의 사진이 '화농성 염증' 사진 입니다

 

동결견의 치료물리적인 운동, 진통제의 복용,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등을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

환자분들이 스스로 해야 하는 운동 입니다.

치료에 오랜 시간이 걸려서 환자분들이 너무나 힘들어 하십니다

여러 운동 방법이 있지만......

아래 그림처럼 운동 하시면 안됩니다.

배영 (Backstroke swimming) 하듯이

팔을 몸에 붙여 회전하여 운동을 합니다.

'Shoul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merus neck fracture(ORIF)  (0) 2024.06.22
어깨의 인대 손상  (0) 2021.11.06
Proximal humerus fracture(Hemi-arthropalsty)  (0) 2020.02.02
Cuff tear arthropathy shoulder Rt.  (0) 2019.11.18
Calcific tendinitis shoulder both  (0) 2019.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