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ot & Ankle

유연성 편평족이란?

by 서규남 2009. 7. 1.

 

 

 

'유연성 편평족'의 진단

 

아치가 없는 사람도 기능은 정상인 경우가 많아

보조적인 삽입물을 이용한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수많은 논란


 ◇ 유연성 편평족이란?

 체중 부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의 종아치가 있으나, 체중 부하를 하면

종아치가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또한 체중 부하한 상태에서 편평족이 있을 때,

제 1 족지를 배굴시켜서 아치가 나타나면 유연성이고, 나타나지 않으면 경직성

이라고 한다.

 

◇ 편평족의 예후 

 육안이나 방사선 소견상으로 보아 아치가 없는 사람도 기능은 정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느 정도 종아치가 낮은 것을 비정상적으로 판단하여 편평족이라

할지 확실한 기준이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이학적 소견 및 방사선 촬영 소견

으로 어떤 경우에 변형이 점차 증가하며, 어떤 경우에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이 없다. 즉, 변형이 점차 증가하며 증세가 있거나, 증세

없더라도 추후에 증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편평족과 변형이 증가하지

않을 편평족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3~4세에 아치가 나타나기 시작하므로

그 이전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편평족의 치료

 보조적인 삽입물을 이용한 치료가 효과가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수많은 논란이

있다. 유연성 편평족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여야 하는 적응증이 흔하지 않으며,

수술적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도 저자들 간에 일치된 의견을 얻기 어렵다.

(족부 족관절학, 이우천 지음) 

 

 

 

 

'Foot & Ank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목 관절 골절   (0) 2009.09.22
Flat foot  (0) 2009.08.01
Hallux valgus (무지 외반증)  (0) 2009.05.01
통풍(신문 기고)  (0) 2009.04.06
통풍  (0) 2009.04.06